<부산 해상스마트시티(Smarlt Maritime City)>는 탄소 중립 지속가능한 해상도시’의 실현 촉진 방안들을 고민하는 파트너와 기술 플랫폼이다. 연안 생태계 파괴도 막고 생물다양성 증진도 고려한다.
<부산 해상스마트시티(Smarlt Maritime City)>는 탄소중립 지속가능한 해상도시’의 실현 촉진 방안을 고민하는 파트너와 기술 플랫폼이다. 연안 생태계 파괴도 막고 생물다양성 증진도 고려한다.
세계적 기후 위기 시대에 부산시가 해상스마트시티 선도 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전략과 국제협력 방안을 도출하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첫 발걸음이다.
'지속가능한 해상도시'란, 유엔 산하 국제기구인 '유엔해비타트(UN-Habitat), 미국의 해상도시 개발사업자 '오셔닉스(OCEANIX)'와 부산시가 함께 세계 최초로 추진하는 프로젝트로, 해양생태계를 파괴하지 않으면서 인류의 피난처, 에너지, 식량 수요를 충족시키는 수상 도시 건설사업이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등으로 발생하는 기후난민들을 위한 새로운 해결책을 부산 오셔닉스가 세계 최초로 보여 줄 것이다. “해상도시는 태풍, 쓰나미 등 재해에 대비해 자연과 인간이 파트너로서 공생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해상도시는 첨단 기술력으로 기후변화를 극복하는 것으로 기후재난 시 기후 회복력과 탄소중립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오셔닉스의 공동 창립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이타이 마다몸베가 ‘오셔닉스 부산 건설 및 자금조달 방안(Presentation on OCEANIX Busan Path to Construction and Funding)’을 주제로 제시하였다. 우리는 현재의 문제를 과거의 도구로 해결할 수 없다. 우리 함께 미래를 위위한 문제 해결을 위해 과감히 행동해야 한다. 부산 해상도시는 세계 최초 해상도시로 프로토 타입은 물론 솔루션까지 보여 줄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 모두 협력해야 한다(이타이 마다몸베)"
부산시는 친환경ㆍ디지털 해상도시 추진을 위한 시범모델 건설 양해각서 체결(’21.11.), 해상스마트시티 민관 전담팀(TF) 발족 등 최적의 대응 전략 및 행정적 지원 방안을 모색해오고 있다.
"해상도시는 리스크가 따르므로 리더십이 중요하다. 유엔해비타트가 해상도시 테스트베드 실험장으로 부산시를 선택했다. 아프리카 등지의 도시들이 이러한 해법을 원하는데 우리가 개발한 기술을 적용할 곳이 필요했다. 케냐에서도 해상도시 시범사업이 진행하고 있다(플로리안 럭스 유엔해비타트 아프리카 프로젝트 관리책임자)".
유엔해비타트(UN-Habitat) 브르노 데콘 아시아태평양지역본부 대표의 기조연설도 탄소중립과 디지털사회 전환이 핵심이다.
부산시가 지속가능한 생태관광 최적지가 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75%의 세계 관광객이 탄소를 줄이는 생태관광 유형을 원한다고 하였다(세계관광협회).
일본과 싱가포르가 이러한 노력을 해 오고 있다. 부산은 청정한 해산물 인증 등에 관심을 가지고 수산업자 등 공급망 체인과도 협력할 필요 있다.
생태관광은 10~50%까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해상도시는 안전성과 내구성이 중요하다. 참여 기업들은 해상도시의 챌린지로서 태풍을 견디면서 내구성있는 구조물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하였다. 해상도시 건축 수명은 100년을 기본으로 탄소 제로와 디지털화를 추구한다.
부산 북항은 파고가 2.2m, 일본 오사카는 파고가 1.6m다. 해상도시 설계 시 파향에도 영향을 받으므로 건물 배치도가 중요하다. 실증 실험에서 이것은 더 연구가 필요하다.
해상도시는 사람의 니즈를 반영하고 커뮤니티도 고려한다. 태양광ㆍ풍력 에너지는 물론 폐수와 쓰레기도 리사이클링 90%를 목표로 해야 한다. 화석에너지는 사용하지 않는다. 하수 물도 정화한다. 해상도시는 모두가 참여하는 플랫폼 친환경 도시를 지향한다.
부산의 챌린지는 태풍만 아니다. 깨끗한 수질도 해당된다. 현재 부산은 해양 오염이 심각하다. 해상도시 건설에 앞서 청정한 해양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이 해상도시는 누가 사는가? 현행 한국법에 따르면 해상도시에 사람이 살 수 없다. 국토부 규제 3종 세트처럼 주거지 정주 도시로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재산권 인정 등 해수부의 종합적 규제의 일시 제거를 위한 메카니즘이 필요하다.
정부가 부산을 글로벌 해상스마트시티 특구로 지정해 창의성 발휘하는 협력장이 되도록 요구했다. 도시 관리나 경영에서 신속한 기후회복력 확보를 위한 많은 스마트 인프라도 선행되어야 한다,
해상도시를 건설해 분양 후 떠나면 그 후 30~40년 뒤 발생할 해양오염 등 도시환경 관리비는 누가 부담하게 되는지 부산시가 오셔닉스로부터 얼마나 연간 수입을 확보할 수 있을지 고민해 보았는가! 해상 주거에 대한 법적 재산권 인정 여부 도입은 신중해야 한다. 부산시가 열악한 영도 등 구도심과 중ㆍ동구 원도심은 방치한 채 북항 해상에 12,000세대 주거용 건물을 짓는 신도시를 건설하겠다고 하였다. 해상 주거 안전사고 및 해양 환경 관리 등 부산시가 추후 부담해야 할 사안이 많은 만큼 이에 대한 규제를 검토없이 풀어서도 안 될 것이다. 수상 도시 이탈리아 베네치아는 이민자들을 위한 주거 공간으로 창출되었지만 수상 도시 베네치아가 최근 해수면 상승으로 인기가 추락하고 있다. 사람이 살 만한 곳이 못 된다는 것이다. 해상도시는 주거로서는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입증이다.
▲유튜브 중계(2023. 10.17 부산 그린해상스마트시티 국제 컨퍼런스)
* [국문] https://youtube.com/live/bafwrn-VQtM?feature=share
* [영문] https://youtube.com/live/mEW523JUnp0?feature=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