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간 9.1cm 해수면 상승, 미래 도시계획에 반영해야 
30년간 9.1cm 해수면 상승, 미래 도시계획에 반영해야 
  • 글로벌환경신문
  • 승인 2021.12.20 07: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 속도는 1990년대보다 2010년대 10% 이상 빨라졌다고 발표했다. . 지난 30년(1991년~2020년)간 연안 조위관측소의 해수면 높이 자료를 분석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장기 해수면 변동을 조사한 결과, 30년간 우리나라 전 연안의 평균 해수면이 매년 3.03mm씩 높아져 평균 9.1cm 가량 상승하였다. 1990년대 보다 최근 10년의 상승 속도가 10% 이상 증가하였으며, 이는 해수면의 상승 속도가 계속 빨라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장기 해수면 변동 및 기간별 해수면 변동률
장기 해수면 변동 및 기간별 해수면 변동률

 

최근 30년간의 연안 평균 해수면 상승 속도를 살펴보면, 1991~2000년에는 연 3.80mm, 2001~2010년에는 연 0.13mm, 2011~2020년(최근 10년)에는 연 4.27mm로 1990년대 대비 최근 10년에 약 10% 이상 증가하였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7대 지표 중 하나인 해수면 장기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2009년 이래로 매년 연안 조위관측소 자료를 분석하여 해수면 상승률을 발표하여 왔다. 올해는 데이터처리 방식을 개선‧적용한 자료를 바탕으로 1991년부터 2020년까지 21개 조위관측소의 상승률을 계산했다

해수면은 지난 30년간 평균적으로 매년 3.03mm씩 높아졌다. 해역별 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동해안(연 3.71mm)이 가장 높았고, 서해안(연 3.07mm), 남해안(연 2.61mm) 순으로 나타났다. 관측지점별로 보면 울릉도가 연 6.17mm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포항, 보령, 인천, 속초 순이었다.

 

최근 30년 평균 해수면 상승률

 

 

지난 8월 ‘정부간 기후변화에 관한 협의체(IPCC)’ 산하 실무그룹은 1971년부터 2006년까지 전 지구 평균 해수면이 연 1.9mm씩, 2006년부터 2018년까지는 연 3.7mm씩 상승했다는 내용이 담긴 보고서를 발표했다.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는 기후변화 관련 전 지구적 위험 평가 및 국제적 대책 마련을 위한 유엔 산하 국제 협의체다.

 

기간별 평균 해수면 상승률 비교
기간별 평균 해수면 상승률 비교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 상승률은 1971~2006년에 연 2.2mm로 전 지구 평균보다 소폭 빨랐으나, 2006~2018년에는 연 3.6mm로 전 지구 평균과 유사하게 상승하고 있다.

 

기간별 전 지구 및 우리 연안 평균 해수면 상승률 비교
기간별 전 지구 및 우리 연안 평균 해수면 상승률 비교

 

해양수산부는 타 부처와 협의하여 향후기후 위기에 연안의 선제적 관리와 대응을 위해서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 현황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해수면 자료 분석과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SSPs)에 따른 미래 해수면 변동을 연안관리와 도시계획정책에 반영하여야 한다. SSPs(Shared Socioeconomic Pathways)는 미래 기후변화 대비 수준에 따라 인구, 경제, 토지이용, 에너지 사용 등의 미래 사회 경제상이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를 적용한 새로운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다. 

이번 조사 연구가 지자체 등 광범위하게 공유되어 미래토지이용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토부와 환경부, 부산시는 가덕신공항을 추진함에 있어서 보다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Copyright ⓒ 글로벌환경신문 & Econew.co.kr 제휴안내구독신청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